개방안내
공공데이터란?
데이터베이스,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함
개방이란?
공공기관이 이용자에게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고, 제공받은 공공데이터를 영리적·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말함
개방목적
- 공공데이터를 자유롭게 이용 하도록 허락
- 누구나 활용 및 융복합하여 가상재화나 서비스를 생산, 이익창출
- 국민 삶의 질 제고와 신산업, 일자리 창출로 경제 활성화에 기여
- 공공데이터 범위
- - 공공기관이 직무상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·작성·취득해 관리하는 정보나 데이터
- ※ 예 : 지리, 기상, 해양, 환경, 경제, 인구, 교통, 관광·레저, 농림·수산, 범회, 특허, 과학·연구, 학술논문 등
- 공공데이터 제공
- - 공공기관은 이용자가 기계 판독이 가능한 형태로 접근·이용할 수 있게 공공데이터를 구축하여 제공
- ※ 기계판독 가능한 형태(MACHINE-READABLE) : 소프트웨어로 데이터의 개별 내용 또는 내부구조를 확인하거나 수정, 변환, 추출 등 가공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.
- 제공 제외대상
- - 「정보공개법」에 따른 비공개대상(국가안보 정보, 개인정보 등)
- - 제3자 권리가 포함된 것으로서 정당한 이용허락을 받지 않은 정보나 데이터
- -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는 제외
순천시 공공데이터 개방책임관 안내(실무담당자)
구분 | 직위,부서 | 성명 | 연락처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공공데이터개방책임관 | 미래산업국장 | 김재빈 | 061-749-5421 | |
공공데이터제공실무담당자 | 디지털정책과 | 서희재 한민주 |
061-749-5716 061-749-5714 |
2023년 순천시 공공데이터 활용도 분석결과
분석결과
- 분석 기간 동안 순천시 공공데이터는 총 12,363건 활용
- 전년대비 개방건수는 12%(20건) 증가, 활용건수는 20%(3,072건) 감소
- 개방건수(2022년 170건 , 2023년 190건) ⇒ 20건(12%) 증가
- 활용건수(2022년 15,435 , 2023년 12,363건) ⇒ 3,072건(-20%) 감소
- 분류체계별로 활용 순위
- 공공행정 15%, 산업고용 15%, 문화관광 14%, 재정금융 13% 순
- 데이터별 활용 순위
- 경로당, 농산물 급식지원 현황, 계약정보공개시스템 발주계획 순으로 높았음.
활용실적
구 분 |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 | 활용 건수 | 비고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2022 | 2023 | 2022 | 2023 | ||
표준데이터셋 | 47 | 54 | 706 | 570 | |
파일데이터 | 121 | 134 | 13,632 | 10,081 | |
API | 2 | 2 | 1,097 | 1,712 | |
합계 | 170 | 9190 | 15,435 | 12,363 |
활용실적
- 활용도 TOP 10
순위 | 표준데이터 | 순위 | 파일데이터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목록명 | 건수 | 목록명 | 건수 | ||
1 | 자동차정비업체 | 45 | 1 | 농산물급식지원 현황 | 667 |
2 | 관광지정보 | 32 | 2 | 관광객 | 525 |
3 | 도시공원정보 | 29 | 3 | 경로당 | 373 |
4 | 종량제봉투가격 | 26 | 4 | 계약정보공개시스템 발주계획 | 359 |
5 | 가로수길정보 | 25 | 5 | 국가유산 보유 현황 | 276 |
6 |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정보 | 24 | 6 | 일반음식점 현황 | 251 |
7 | 스마트가로등 | 22 | 7 | 비산먼지 발생사업 현황 | 246 |
8 | 지역특화거리 | 20 | 8 | 사회복지시설 현황 | 232 |
9 | 어린이보호구역 | 19 | 9 | 인구 현황 | 226 |
10 | 박물관미술관정보 | 19 | 10 | 통계연보 | 193 |
- 분류체계별 순위
순위 | 분류체계명 | 건수 | 비율 | 순위 | 분류체계명 | 건수 | 비율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공공행정 | 1,876 | 17.6% | 1 | 산업고용 | 723 | 6.8% |
2 | 문화관광 | 1,521 | 14.3% | 2 | 국토관리 | 392 | 3.7% |
3 | 환경기상 | 1,216 | 11.4% | 3 | 사회복지 | 334 | 3.1% |
4 | 농축수산 | 1,173 | 11% | 4 | 보건의료 | 277 | 2.6% |
5 | 재정금융 | 1,107 | 10.4% | 5 | 과학기술 | 275 | 2.6% |
6 | 식품건강 | 850 | 8% | 6 | 교육 | 88 | 0.8% |
7 | 교통물류 | 778 | 7.3% | 7 | 재난안전 | 41 | 0.4%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