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세계유산」이란
유네스코(UNESCO)에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지정하는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으로
순천시는 선암사, 한국의 갯벌이 있으며 아직 등재는 되지 않았지만 세계유산잠정목록으로 낙안읍성이 있다.
※ 세계유산잠정목록: 세계유산 등재를 희망하는 회원국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하는 자국의 세계유산 후보 목록이며,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려면 잠정목록을 거쳐야 한다.
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탭을 클릭하시면 설명 및 사이트로 접속가능한 QR코드가 있습니다.
유산명 : 한국의 갯벌 (Getbol, Korean Tidal Flats)
※ 등재 갯벌 : 보성-순천갯벌, 서천갯벌, 고창갯벌, 신안갯벌
소재지 : 전남 순천시 별량면, 해룡면, 도사동 일원
등재시기 : 2021년 7월
세계유산 등재기준
세계유산 등재기준은 총 10가지로 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여야 한다.


구분 | 기준 | 사례 |
---|---|---|
Ⅰ |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| 호주 오페라 하우스 |
Ⅱ |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, 기념물 제작,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| 러시아 콜로멘스코이 성당 |
Ⅲ |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| 태국 아유타야 유적 |
IV |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,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,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| 종묘 |
Ⅴ |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*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 | 리비아 가다메스 옛도시 |
Ⅵ |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, 사상이나 신조,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(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 권장) | 일본 히로시마 원폭돔 |
Ⅶ | 최상의 자연 현상이나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포함할 것 | 케냐 국립공원, 제주 용암동굴·화산섬 |
Ⅷ | 생명의 기록이나, 지형 발전상의 지질학적 주요 진행과정, 지형학이나 자연지리학적 측면의 중요 특징을 포함해 지구 역사상 주요단계를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 | 제주 용암동굴·화산섬 |
Ⅸ | 육상, 민물, 해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동·식물 군락의 진화 및 발전에 있어 생태학적, 생물학적 주요 진행 과정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일 것 | 케냐 국립공원 |
Ⅹ | 과학이나 보존 관점에서 볼 때 보편적 가치가 탁월하고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 생물학적 다양성의 현장 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가 큰 자연 서식지를 포괄 | 중국 쓰촨 자이언트 팬더 보호구역 |
공통 | 완전성(integrity) : 유산의 가치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충분한 제반 요소 보유
보호 및 관리체계 : 법적, 행정적 보호 제도, 완충지역(buffer zone) 설정 등 |
한국의 갯벌은 등재기준(Ⅹ)을 충족하여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렸다.


벌에 펼쳐지는 갈대밭과 칠면초 군락, S자형 수로 등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해안생태경관을 보여주는 연안습지이며, 넓은 갯벌에는 갯지렁이류와 각종 게류, 조개류 등 갯벌 생물상이 다양하고 풍부하여 천연기념물인 흑두루미와 먹황새, 노랑부리저어새를 비롯한 흰목물떼새, 방울새, 개개비, 검은머리물떼새 등 11종의 국제 희귀조류와 200여종의 조류가 이곳을 찾는 등 생물학적 가치가 크다.
특히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일몰과 철새가 떼 지어 날아오르는 광경이 장관을 이루어 경관적 가치가 뛰어나다.
<출처 :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>
참고로, 순천만은 2008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.